전체 글5 건설안전기사 필기, 과년도 기출문제 (2022년 4월 15-20번) [안전관리론]15. A사업장의 상시근로자수가 1200명이다. 이 사업장의 도수율이 10.5이고 강도율이 7.5일 때 이사업장의 총 요양근로손실일수(일)는? (단, 근로자당 연근로시간수는 2400시간이다.) (1) 21.6(2) 216(3) 2160(4) 21600 답 : (4)더보기산업재해통계업무처리규정제3조 (산업재해통계의 산출방법 및 정의 - 도수율(빈도율) = 재해건수 / 연근로시간수 x 1,000,000→ 10.5 = 재해건수 / 2400 x 1,000,000→ 관련없음. - 강도율 = (총요양근로손실일수 / 연근로시간수) x 1,000→ 7.5 = (총요양근로손실일수 / 1200 x 2400) x 1,000→ 총요양근로손실일수 = 21600 🔗 산업재해통계업무처리규정 제3조 16. 산업재해의 .. 2025. 1. 19. 건설안전기사 필기, 과년도 기출문제 (2022년 4월 12-14번) [안전관리론]12. 다음에서 설명하는 위험예지훈련 단계는?- 위험요인을 찾아내는 단계- 가장 위험한 것을 합의하여 결정하는 단계 (1) 현상파악(2) 본질추구(3) 대책수립(4) 목표설정 답 : ((2)더보기위험예지훈련의 4단계 ① 1R(현상파악): 어떤 위험이 잠재하고 있는지 사실을 파악② 2R(본질추구): 가장 위험한 요인(위험 포인트)을 합의로 결정③ 3R(대책수립): 구체적인 대책을 제시④ 4R(목표설정): 수립한 대책 가운데 질이 높은 항목에 합의1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검사 대상 기계가 아닌 것은? (1) 리프트(2) 압력용기(3) 컨베이어(4) 이동식 국소 배기장치 답 : (4)더보기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시행 2025. 1. 1.] [대통령령 제35159호, 2024. 12. 31., 일.. 2025. 1. 17. 건설안전기사 필기, 과년도 기출문제 (2022년 4월 9-11번) [안전관리론]9. 다음의 재해사례에서 기인물과 가해물은?작업자가 작업장을 걸어가던 중 작업장 바닥에 쌓여있던 자재에 걸려 넘어지면서 바닥에 머리를 부딪혀 사망하였다. 답 : 기인물 : 자재, 가해물 : 바닥더보기기인물과 가해물 기인물 : 직접적으로 재해를 유발하거나 영향을 끼친 것가해물 : 근로자에게 직접적으로 상해를 입힌 것10. 산업재해통계업무처리규정상 산업재해통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총요양근로손실일수는 재해자의 총 요양기간을 합산하여 산출한다.(2) 휴업재해자수는 근로복지공단의 휴업급여를 지급받은 재해자수를 의미하여, 체육행사로 인하여 발생한 재해는 제외된다.(3) 사망자수는 통상의 출퇴근에 의한 사망을 포함하여 근로복지공단의 유족급여가 지급된 사망자수를 말한다.(4) 재해자수는 근.. 2025. 1. 16. 건설안전기사 필기, 과년도 기출문제 (2022년 4월 6-8번) [안전관리론]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심의, 의결을 거쳐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단,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제외한다.)(1) 작업환경측정 등 작업환경의 점검 및 개선에 관한 사항(2)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기록 및 유지에 관한 사항(3) 안전장치 및 보호구 구입 시 적격품 여부 확인에 관한 사항(4) 사업장의 산업재해 예방계획의 수립에 관한 사항 답 : (3) 더보기산업안전보건법 제24조 (산업안전보건위원회) 1항 1. 사업장의 산업재해 예방계획의 수립에 관한 사항2. 안전보건관리규정의 작성 및 변경에 관한 사항3. 안전보건교육에 관한 사항4. 작업환경측정 등 작업환경의 점검 및 개선에 관한 사항5. 근로자의 건강진단 등 건강관리에 관한 사항6. 산업재해의 원인 조사 및 재발 .. 2025. 1. 16. 건설안전기사 필기 공부 시작, 과년도 기출문제 (2022년 4월 1-5번) [안전관리론]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규정 작성에 관한 사항으로 ( )에 알맞은 기준은?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여야 할 사업의 사업주는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 )일 이내에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해야 한다. 답 : 30더보기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25조(안전보건관리규정의 작성) ① 법 제25조제3항에 따라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해야 할 사업의 종류 및 상시근로자 수는 별표 2와 같다. ② 제1항에 따른 사업의 사업주는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해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30일 이내에 별표 3의 내용을 포함한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해야 한다. 이를 변경할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도 또한 같다. ③ 사업주가 제2항에 따라 안전보건관리규정을 .. 2025. 1. 1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