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관리론]
15. A사업장의 상시근로자수가 1200명이다. 이 사업장의 도수율이 10.5이고 강도율이 7.5일 때 이사업장의 총 요양근로손실일수(일)는? (단, 근로자당 연근로시간수는 2400시간이다.)
(1) 21.6
(2) 216
(3) 2160
(4) 21600
답 : (4)
산업재해통계업무처리규정
제3조 (산업재해통계의 산출방법 및 정의
- 도수율(빈도율) = 재해건수 / 연근로시간수 x 1,000,000
→ 10.5 = 재해건수 / 2400 x 1,000,000
→ 관련없음.
- 강도율 = (총요양근로손실일수 / 연근로시간수) x 1,000
→ 7.5 = (총요양근로손실일수 / 1200 x 2400) x 1,000
→ 총요양근로손실일수 = 21600
16. 산업재해의 기본원인으로 볼 수 있는 4M으로 옳은 것은?
(1) Man, Machine, Maker, Media
(2) Man, Management, Machine, Media
(3) Man, Machine, Maker, Management
(4) Man, Management, Machine, Material
답 : (2)
산업재해의 기본원인 4M
Man 인적요인
Management 관리적 요인
Machine 기계적 요인
Media 작업적요인
17. 보호구 안전인증 고시상 안전대 충격흡수장치의 동하중 시험성능기준에 관한 사항으로 ( )에 알맞은 기준은 ?
- 최대전달충격력은 ( ㄱ ) kN 이하 - 감속거리는 ( ㄴ ) mm 이하 이어야 함 |
(1) ㄱ : 6.0, ㄴ : 1000
(2) ㄱ : 6.0, ㄴ : 2000
(3) ㄱ : 8.0, ㄴ : 1000
(4) ㄱ : 8.0, ㄴ : 2000
답 : (1)
보호구 안전인증 고시
[시행 2023. 12. 18.] [고용노동부고시 제2023-64호, 2023. 12. 18., 일부개정]

18.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공기압축기 가동 전 점검사항을 모두 고른 것은? (단, 그 밖에 사항은 제외한다.)
ㄱ. 윤활유의 상태 ㄴ. 압력방출장치의 기능 ㄷ. 회전부의 덮개 또는 울 ㄹ. 언로드밸브의 기능 |
답 : ㄱ,ㄴ,ㄷ,ㄹ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시행 2024. 12. 29.] [고용노동부령 제417호, 2024. 6. 28., 일부개정]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3] <개정 2019. 12. 26.>'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제35조제2항 관련)
3. 공기압축기를 가동할 때(제2편제1장제7절)
가. 공기저장 압력용기의 외관 상태
나. 드레인밸브(drain valve)의 조작 및 배수
다. 압력방출장치의 기능
라. 언로드밸브(unloading valve)의 기능
마. 윤활유의 상태
바. 회전부의 덮개 또는 울
사. 그 밖의 연결 부위의 이상 유무
19. 버드의 재해구성비율 이론상 경상이 10건일 때 중상에 해당하는 사고 건수는?
(1) 1
(2) 30
(3) 300
(4) 600
답 : (1)
버드 이론 1 : 10 : 30 : 600 의 법칙
중상 : 경상 : 무상해 물적 손실 사고 : 무상해 무손실 사고 = 1: 10 : 30 : 600 이라고 제시
20. 재해의 원인 중 불안전한 상태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위험장소 접근
(2) 작업환경의 결함
(3) 방호장치의 결함
(4) 물적 자체의 결함
답 : (1)
하인리히의 도미노 이론
불안전 상태와 불안전 행동은 재해의 직접적인 원인이며, 이를 제거하여 사고 예방 가능
- 불안전 행동 : 사고 초래하는 인간 행동의 불안전한 요소
• 위험장소 접근
• 안전장치의 기능 제거
• 복장 · 보호구의 잘못 사용
• 기계 · 기구 잘못 사용
• 운전 중인 기계장치의 손질
• ‘불안전’속도 조작
• 위험물 취급 속도 조작
• 불안전한 상태 방치
• 불안전한 자세 동작
• 감독 및 연락 불충분 등
- 불안전 상태 : 잠재적위험성을 가지고 있는 상태
• 물적 자체의 결함
• 방호 조치의 결함
• 물건의 두는 방법, 작업개소의 결함
• 보호구, 복장 등의 결함
• 작업환경의 결함
• 외적, 자연적 불안전 상태
• 작업방법의 결함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