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관리론]
12. 다음에서 설명하는 위험예지훈련 단계는?
- 위험요인을 찾아내는 단계 - 가장 위험한 것을 합의하여 결정하는 단계 |
(1) 현상파악
(2) 본질추구
(3) 대책수립
(4) 목표설정
답 : ((2)
더보기
위험예지훈련의 4단계
① 1R(현상파악): 어떤 위험이 잠재하고 있는지 사실을 파악
② 2R(본질추구): 가장 위험한 요인(위험 포인트)을 합의로 결정
③ 3R(대책수립): 구체적인 대책을 제시
④ 4R(목표설정): 수립한 대책 가운데 질이 높은 항목에 합의
1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검사 대상 기계가 아닌 것은?
(1) 리프트
(2) 압력용기
(3) 컨베이어
(4) 이동식 국소 배기장치
답 : (4)
더보기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시행 2025. 1. 1.] [대통령령 제35159호, 2024. 12. 31., 일부개정]
■ 제78조(안전검사대상기계등)
1. 프레스
2. 전단기
3. 크레인(정격 하중이 2톤 미만인 것은 제외한다)
4. 리프트
5. 압력용기
6. 곤돌라
7. 국소 배기장치(이동식은 제외한다)
8. 원심기(산업용만 해당한다)
9. 롤러기(밀폐형 구조는 제외한다)
10. 사출성형기[형 체결력(型 締結力) 294킬로뉴턴(KN) 미만은 제외한다]
11. 고소작업대(「자동차관리법」 제3조제3호 또는 제4호에 따른 화물자동차 또는 특수자동차에 탑재한 고소작업대로 한정한다)
12. 컨베이어
13. 산업용 로봇
1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장에서 산업재해 발생 시 사업주가 기록, 보존하여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단, 산업재해조사표와 요양신청서의 사본은 보존하지 않았다.)
(1) 사업장의 개요
(2) 근로자의 인적사항
(3) 재해 재발방지 계획
(4) 안전관리자 선임에 관한 사항
답 : (4)
더보기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시행 2025. 1. 1.] [고용노동부령 제419호, 2024. 6. 28., 일부개정]